반응형
my_list = [2, 3, 5, 7, 11, 13]
print(my_list[1])
print(my_list[3])
# 리스트는 값을 저장하고 불러올 수 있다
# 사전 (dictionary) 단어와 뜻이 쌍을 이룬다.
# key-value pair (키-값 쌍)
my_dictionary = {
5: 25,
2: 4,
3: 9
}
# print(type(my_dictionary)) 의 값은 class 'dict'
# 사전형 이라고 나온다
print(my_dictionary[3])
# 9가 출력된다
# 사전 리스트에 내용을 추가하고싶으면
my_dictionary[9] = 81
print(my_dictionary)
# 9: 81 이 추가된 것을 볼 수 있다.
# 리스트와 딕셔너리의 차이점은 순서가 없고,
# 리스트는 정수만 오지만, 딕셔너리는 정수일 필요가 없다.
my_family = {
'엄마': '김자옥',
'아빠': '이석진',
'아들': '이동민',
'딸': '이지영'
}
print(my_family['아빠'])
728x90
반응형
'교육 > [Codeit] 프로그래밍 기초 in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전 활용법 (0) | 2020.11.27 |
---|---|
실습과제 단어장 만들기 (0) | 2020.11.27 |
리스트 뒤집기 (1) | 2020.11.23 |
피타고라스 삼조 (0) | 2020.11.23 |
실습과제 구구단 만들기 (0) | 2020.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