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썸네일형 리스트형 변수 제대로 이해하기 name = "홍길동" x = 7 x = x + 1 # "="는 지정연산자(assignment operator) 오른쪽의 자료를 완쪽에 대입해라 # x는 8 x = 7 x = x - 3 # x는 4 파이썬에서 등호의 의미 "같다"의 의미가 아니다 "지정 연산자"를 기억하자 더보기 type 함수 꿀팁 어떤자료형인지 알고싶을때 type()을 쓴다. print(type(3)) # int print(type(3.0)) # float print(type("3")) # str print(type("True")) # str print(type(True)) # bool def hello(): print("Hello world") print(type(hello)) # function 정의한 함수 print(type(print)) # builtin_function_or_method 내장되어있는 함수 더보기 불 대수, 불린형 수학자 '조지 불'의 이름을 따서 불 대수 일상적인 논리를 수학적으로 표현한 것 일반 수학의 값, 숫자 소수, 0, 정수 불 대수의 값, 진리값 True False 일반수학의 연산 + - * / × ÷ 불대수의 연산 and or not 명제 참 또는 거짓이 확실한 것 대한민국의 수도는 서울이다. - 참인 명제 2는 1보다 작다. 거짓인 명제 한국의 수도는 어디입니까? 명제가 아님 김태희는 예쁘다. 명제가 아님 AND 연산 x와 y가 모두 참일 때만 x AND y가 참 x y x AND y True True True True False False False True False False False False 대한민국의 수도는 서울이다. AND 2는 1보다 크다. True AND True - True 대한민.. 더보기 format 실습과제 실습과제 주어진 코드에서 wage는 1시간에 얼마 버는지를 나타내는 값이고, exchange_rate는 1달러를 한국 돈으로 바꾸면 얼마인지 나타내는 값(환율)입니다. 1시간 동안 번 금액은 wage * 1의 결과값인 5달러이고, 이 금액을 한국 돈으로 환전하면 wage * 1 * exchange_rate의 결과값인 5710.8원이 되는거죠. 문자열 포맷팅의 개념을 이용하여 아래의 문장들을 출력하세요. 1시간에 5달러 벌었습니다. 5시간에 25달러 벌었습니다. 1시간에 5710.8원 벌었습니다. 5시간에 28554.0원 벌었습니다. 주어진 변수와 문자열 포맷팅을 반드시 이용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원화 금액은 소수점 첫째 자리까지만 출력되어야 합니다. wage = 5 # 시급 (1시간에 5달러) excha.. 더보기 format을 이용한 문자열, format 다루기 #다음 문자열을 출력해봅시다. # 오늘은 2020년 11월 04일입니다. year = 2020 month = 11 day = 4 # print("오늘은" + year + "년" + month + "월" + day + "일입니다.") # 당연히 오류. 문자열과 정수형 더할 수 없다. 형변환 필요 print("오늘은" + str(year) + "년" + str(month) + "월" + str(day) + "일입니다.") # 잘 작동하는데 뭔가 번거롭다 # format을 활용해 보자 # print("오늘은 2020년 11월 04일입니다.") # 형식을 갖추고 # 중괄호를 사용해서 파라미터로 입력 print("오늘은 {}년 {}월 {}일입니다.".format(year, month, day)) date_stri.. 더보기 형변환(Type conversion / Type casting) # 형변환(Type conversion / Type casting) # 정수 소수 문자열 # 값을 한 자료형에서 다른 자료형으로 바꾸는 것 # 정수 -> 소수 # 문자열 -> 정수 print(int(3.8)) # int()는 정수를 나타낸다. 소수점을 없애고 정수만 나타냄 print(float(3)) # float()는 소수를 나타낸다. #문자열-숫자 변환 pirnt(int("2") + int("5")) # 7 출력 print(float("1.1") + float("2.5")) # 3 출력 print(str(2) + str(5)) # 25 출력 # str()은 문자열을 나타낸다. age = 7 print("제 나이는 " + age + "살입니다.") # 오류 # 문자열과 정수를 연결시킬 수 없다. pri.. 더보기 문자열(String) # 문자열(String) # 키보드로 쓸수 있는 문자들을 표현한 자료형 # '코드잇' # 작은 따옴표 큰 따옴표 관계 없다 # "코드잇" # 작은 따옴표로 시작했으면 작은 따움표로 끝내라 # 문자열 연산 7 + 6 = 13 #문자열 연결 String Concatenation print("Hello" + "World") # 실행하면 HelloWorld # 출력됨 # "Hello" * 3는 "Hello" + "Hello" + "Hello"와 같다 print("Hello" * 3) # 실행하면 HelloHelloHello # 출력됨 # 예 # print('코드잇') # print('유재석') # print('I'm excited to learn Python!') # 이렇게 하면 오류가 난다. I 만 문자열로 .. 더보기 숫자형 + 심화 # 정수형 계산 # 덧셈 print(4 + 7) # 뺄셈 print(2 - 4) # 곱셈 print(5 * 3) #나머지 print(7 % 3) # 거듭제곱 print(2 ** 3) # 소수형 계산 # 덧셈 print(4.0 + 7.0) # 뺄셈 print(2.0 - 4.0) # 곱셈 print(5.0 * 3.0) #나머지 print(7.0 % 3.0) # 거듭제곱 print(2.0 ** 3.0) # 정수형+ 소수형 계산 # 덧셈 print(4.0 + 7) # 뺄셈 print(2.0 - 4) # 곱셈 print(5.0 * 3) #나머지 print(7 % 3.0) # 거듭제곱 print(2.0 ** 3) #소수형이 조금 더 힘이 쌔다 # 나누기 print(7 / 2) print(6 / 2) print(7... 더보기 이전 1 ··· 12 13 14 15 16 17 다음